*MAC=Media Access Control (매체 접속 통제 )
-Layer2 주소
-48비트로 구성
*ISP=internet service Provider
-회사의 이름
-인트라넷 쓸때 회사의 연결점
(ex=KT , SKT 같은회사)
*OSI 7 Layer
애-프-스-트-앤-돌-핀
A- P - S - T-N-DL-P
*Ethernet 통신방식>CSMA/CD
Carrier Sense ,M멀티플 A엑세스 / Collision Detection
*NMS = Network Managment System
(고장지역까지 직접가지않고 내 회사에서 관리할수있는 시스템)
*
TCP/IP(Transfer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
출처: <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2274898&cid=42171&categoryId=51118>
*ip 클래식c =앞 이진수가 1 1 0 이되어야한다 >192~223
*디폴트:기본설정값
DHCP=ip를 자동으로 배정해주는 서버(나중에 회수도한다. 렌트개념)
*인터페이스 정의
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2837557&cid=40942&categoryId=32828
*트래픽(traffic) 서버에 전송되는 통신. 데이터의양 - 영어로는 교통이라는뜻 -
*패킷=네크워크를 ㅣ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단위(소포를 뜻함)
*인터페이스:= 각장치를 연결해주는 경계 ,라우터에 나와있는 접속가능 한 포트
*Ethernet=내부 네크워크끼리 통신할때쓰는 인터페이스
*디버그= 프로그램 개발 마지막 단계에서, 프로그램의 오류를 발견하고 그원인을 밝혀내는
작업 또는 그 프로그램을 말한다.
*back to back =원래 환경에서는 전화국에 요청해서 전용선을 설치하고 서로 라우터를 연결하면되지만
*DNS=
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/IP 네트워크 서비스이다. TCP/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네임 서비스의 구조이다.
*http=
인터넷에서,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한다.
출처: <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180001&cid=40942&categoryId=32851>
※라우터 명령어 모음 링크
※스위치 명령어 모음 링크
※기본명령어> > 메모장에 저장후 쉬프트+인썰트 입력 복사 된다.
패킷,GNS3내 복사 >컨트롤+인썰트*